아르디스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디스 2세는 기원전 7세기에 리디아를 통치한 메르무나데스 왕조의 왕이다. 그는 아버지 기게스가 킴메르족과의 전투에서 사망한 후 왕위에 올랐으며, 신아시리아 제국과의 외교를 재개하고 이오니아 도시 밀레투스를 공격하여 프리에네를 점령했다. 아르디스는 킴메르족의 침략으로 인해 짧은 통치를 했으며, 기원전 637년 트레레스 부족의 공격으로 사망했거나 폐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의 아들 사디아테스가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7세기 아시아의 통치자 - 아케메네스
아케메네스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시조로 여겨지지만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다리우스 1세는 그를 선조로 내세워 왕위의 정당성을 주장했으나, 키루스 2세의 기록 부재 등으로 인해 실존 인물이 아닐 가능성도 제기된다. - 기원전 7세기 아시아의 통치자 - 프라오르테스
프라오르테스는 기원전 7세기경 메디아의 왕으로 데이오케스의 뒤를 이었으며, 여러 민족을 정복하려다 신아시리아 제국과의 전쟁에서 사망했고, 통치 기간과 카슈타리티와의 동일 인물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 리디아의 왕 - 크로이소스
리디아 왕국의 마지막 왕 크로이소스는 막대한 부를 축적하고 크로이세이드 금화를 발행했지만, 키루스 2세에게 패배하여 왕국을 잃었으며 그의 생애에 대한 다양한 설이 존재한다. - 리디아의 왕 - 옴팔레
그리스 신화 속 리디아 여왕 옴팔레는 헤라클레스를 노예로 삼아 속죄하게 했고, 결혼 후 그와 옷을 바꿔 입는 등 성 역할 전복을 보여주는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헤라클레스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들은 리디아 왕조 및 에트루리아 기원 전승에 등장한다.
아르디스 2세 | |
---|---|
기본 정보 | |
왕국 | 리디아 |
칭호 | 리디아 왕 |
로마자 표기 | Areudiseu |
통치 기간 | |
재위 | 기원전 644년 - 기원전 637년 |
이전 통치자 | 기게스 |
다음 통치자 | 사디아테스 |
가족 관계 | |
자녀 | 사디아테스 리데 |
왕조 | 메름나드 왕조 |
부친 | 기게스 |
출생과 사망 | |
사망일 | 기원전 637년 (?) |
2. 이름
아르디스(Ardys)는 (Αρδυςgrc)의 라틴어 형태이며, 이는 다시 리디아어 이름의 헬라어화된 형태이다. 히타이트어의 새 이름인 (ardus)[3] 또는 후손을 뜻하는 히타이트어 단어 ()[4]의 동족어이다.
기원전 7세기 동안, 유라시아 대초원에서 서아시아를 침략한 유목 민족인 킴메르족은 리디아를 여러 차례 공격했지만 아르디스의 아버지 기게스에 의해 격퇴되었다.[1] 기원전 644년, 킴메르족은 그들의 왕 리그다미스의 지휘하에 세 번째로 리디아를 공격했다.[1] 리디아인은 패배했고, 사르디스는 약탈당했으며, 기게스가 살해되었고, 그 후 아르디스는 리디아의 왕이 되었다.[1]
3. 생애
아르디스는 왕위에 오른 후 기게스가 중단했던 신아시리아 제국과의 외교 활동을 재개했다.[1] 이오니아의 그리스 도시 밀레투스를 공격하여 프리에네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는데, 이후 프리에네는 리디아 왕국의 멸망 시까지 직접적인 지배를 받게 되었다.[5][6]
아르디스의 치세는 짧았는데, 이는 리디아가 킴메르인 침략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기 때문일 것이다.[2] 기원전 637년, 즉 아르디스의 통치 7년째에, 트라키아의 트레레스 부족은 트라키아 보스포루스 해협을 건너 아나톨리아를 침략하여 코보스 왕의 지휘 하에 킴메르인 및 리키아인과 동맹을 맺고 리디아를 공격했다.[1] 그들은 리디아를 다시 격파하고 리디아의 수도 사르디스를 두 번째로 약탈했는데, 요새는 제외되었다. 아르디스는 이 킴메르인 공격 중에 사망했거나, 킴메르인 침략으로부터 리디아를 성공적으로 방어할 수 없었기 때문에 폐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7]
아르디스는 메르무나데스 왕조의 초대 왕 규게스의 아들이며, 차대 왕인 사디아테스의 아버지이다. 아버지 규게스가 킴메리아인과의 싸움에서 전사한 후 즉위한 아르디스는 왕권 재건에 직면했다.
3. 1. 배경
기원전 7세기 동안, 유라시아 대초원에서 서아시아를 침략한 유목 민족인 킴메르족은 리디아를 여러 차례 공격했지만 아르디스의 아버지 기게스에 의해 격퇴되었다.[1] 기원전 644년, 킴메르족은 그들의 왕 리그다미스의 지휘하에 세 번째로 리디아를 공격했다.[1] 리디아인은 패배했고, 사르디스는 약탈당했으며, 기게스가 살해되었고, 그 후 아르디스는 리디아의 왕이 되었다.[1]
3. 2. 치세
아르디스는 왕위에 오른 후 기게스가 중단했던 신아시리아 제국과의 외교 활동을 재개했다.[1] 이오니아의 그리스 도시 밀레투스를 공격하여 프리에네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는데, 이후 프리에네는 리디아 왕국의 멸망 시까지 직접적인 지배를 받게 되었다.[5][6]
아르디스의 치세는 짧았는데, 이는 리디아가 킴메르인 침략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기 때문일 것이다.[2] 기원전 637년, 즉 아르디스의 통치 7년째에, 트라키아의 트레레스 부족은 트라키아 보스포루스 해협을 건너 아나톨리아를 침략하여 코보스 왕의 지휘 하에 킴메르인 및 리키아인과 동맹을 맺고 리디아를 공격했다.[1] 그들은 리디아를 다시 격파하고 리디아의 수도 사르디스를 두 번째로 약탈했는데, 요새는 제외되었다. 아르디스는 이 킴메르인 공격 중에 사망했거나, 킴메르인 침략으로부터 리디아를 성공적으로 방어할 수 없었기 때문에 폐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7]
아르디스는 메르무나데스 왕조의 초대 왕 규게스의 아들이며, 차대 왕인 사디아테스의 아버지이다. 아버지 규게스가 킴메리아인과의 싸움에서 전사한 후 즉위한 아르디스는 왕권 재건에 직면했다.
4. 이후
사디아테스는 기원전 635년 킴메르인의 공격으로 사망했거나, 리디아를 보호하지 못해 폐위되었을 수 있다.[2]
기원전 635년 직후, 아시리아의 승인 하에[8] 리디아인들과 동맹을 맺은 스키타이인은 왕 마디에스의 지휘 아래 아나톨리아로 진입하여 트레레스를 소아시아에서 몰아내고 킴메르인들을 격파했다. 이후 스키타이인들은 지배력을 중앙 아나톨리아까지 확장했다.[9] 그들은 기원전 600년대에 메디아인에 의해 서아시아에서 축출되었다.[1] 스트라본은 마디에스가 트레레스와 킴메르인들을 소아시아에서 몰아냈다고 언급했고, 헤로도토스와 폴리에누스는 사디아테스의 아들이자 아르디스의 손자인 리디아의 왕 알리아테스가 킴메르인들을 최종적으로 격파했다고 주장한다.
참조
[1]
논문
The Date of the Death of Gyges and Its Historical Implications
https://www.jstor.or[...]
1978
[2]
논문
WALWET and KUKALIM: Lydian coin legends, dynastic succession, and the chronology of Mermnad kings
https://www.academia[...]
2015
[3]
서적
Hittite Etymological Dictionary
"[[De Gruyter|Walter de Gruyter]]"
1984
[4]
서적
Hittite Etymological Dictionary
"[[De Gruyter|Walter de Gruyter]]"
1984
[5]
서적
'Miletos, the ornament of Ionia: history of the city to 400 BC'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1
[6]
학위논문
La Lydie d'Alyatte et Crésus: Un royaume à la croisée des cités grecques et des monarchies orientales. Recherches sur son organisation interne et sa politique extérieure
https://orbi.uliege.[...]
"[[University of Liège]]"
2018
[7]
서적
Who were the Cimmerians, and where did they come from?: Sargon II, and the Cimmerians, and Rusa I
The Royal Danish Academy of Science and Letters
[8]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9]
논문
The Scythian Domination in Western Asia: Its Record in History, Scripture and Archaeology
https://www.jstor.or[...]
1972
[10]
문서
ヘロドトス『歴史』メルムナダイ王統史
[11]
서적
大村次郷「リュディア王国」
明石書店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